ABA4kids행동중재연구소

ABA행동중재

ABA란 응용행동분석 (Applied Behavior Analysis)의 줄임말로 ‘체계적인 방법으로 행동을 바꾸는 과학’입니다.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줄이고, 바람직한 행동은 증가시킴으로써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ABA의 목적입니다.

 

ABA는 스키너 (B.F.Skinner)의 실험심리학 (experimental psychology)에 그 근간을 두고 발전된 학문으로 지금까지 많은 연구와 데이터로 그 효과가 객관적으로 입증되고 있습니다. 미국에서는 ABA를 바탕으로 한 여러 중재법들이 학교시스템에 도입되어 자폐지원학급 (Autism Support Class)을 비롯한 여러 특수학급은 물론이고, 일반 학급에서도 쓰이고 있습니다.

 

ABA의 대표적인 두 가지 중재법은 문제행동 중재와 언어행동(Verbal Behavior) 중재입니다.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(예: 텐트럼, 공격성, 지시 따르지 않기, 자해, 상동행동 등) 을 줄이기 위하여 문제행동중재가 들어가야 하고,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(지시 따르기, 요구하기, 놀이, 자조, 사회성 기술, 의사소통기술 등)을 늘리기 위하여 언어행동중재가 들어가야 합니다. 이 둘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어느 하나만 중재가 들어가서는 큰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.

 

문제행동의 중재는 FBA (기능행동분석)을 통하여 대체행동을 정하고 구체적인 중재법(Positive Behavior Plan)을 세우게 됩니다. 언어행동중재는 VBMAPP이나 ABLL-R같은 도구로 평가한 다음 DTT와 NET로 바람직한 행동을 늘리게 됩니다. 책상에 앉아서 하는 DTT만 가지고는 기술의 발전이 어려우며 반드시 그 기술을 일반화하고 확장하는 NET(Natural Environmental Teaching)에서의 훈련이 병행되어야 합니다.

 

 

 

문제행동중재



DTT



NET

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12
(21 센츄리시티오피스텔) 1238호

찾아오시는 길